Recent News

homenavigate_next알림마당navigate_next소식피드

소식피드

게시물 상세
[건축/문화] 2011공간대상(SPACE Prize 2011)제29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수상자 발표
visibility 1695
작성자 : 관리자작성일 : 2011-11-25

제29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수상자 발표
The 29th Space Prize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Architectural Design

해마다 하나의 주제를 통해 건축의 개념을 확대하고 탐구해온 공간국제학생건축상이 올 한 해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지난 10월 26일 최종 공개 심사를 갖고 수상작을 선정, 발표했다. 올해 심사위원 장윤규(국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운생동건축 대표, 갤러리 정미소 대표). 주제로 ‘사회적 상상체(Social Imagination)’를 제시했다.

심사위원은 해제를 통해 사회적 상상체는 “동양의 침술처럼 중요한 급소적 반응을 이끌어내 도시 전체를 새롭게 재편할 수 있는 흥미로운 과정”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이는 낯설게 보기를 통해 기존 도시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유도하고, “도시 재구성으로 귀결되는 미적인 조작보다는 환경 변화를 유도하는 새로운 순환체계 구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힘을 갖는다고 한다.

올해로 29회를 맞은 공간국제학생건축상은 지난 22회부터 건축의 개념을 확대해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과 건축가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기 위해 보다 사회적인 개념의 공모전을 추구해왔다. 일회적인 공모전에 그치지 않고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공모전 주제와 관련한 세미나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또한 2002년 『서울시나리오』, 2006년 『패스터 앤 비거』 등 공모전 주제와 과정을 단행본으로 기획해, 그 논의를 확장해오고 있다. 다소 어려운 주제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학생들의 참여가 증가해왔으며, 그와 함께 학생들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도 발굴해왔다.

올해 공모전은 공고 당시 물리적인 조건과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않아, 지난 5월에 열린 주제 설명회에는 그 주제와 방향을 파악하고자 어느 해보다 많은 학생이 참석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매년 700명을 상회하던 참가자 수가 올해는 지난해의 30%에도 미치지 못한 총 199팀에 그쳤다. 주제의 난해함 혹은 상상력이 부족한 시대상을 반영한 결과라는 등 여러 원인이 제기되는 속에서도 과거 어떤 공모전보다 훨씬 과감한 형식을 갖는 작업들이 접수됐다.

이중 10월 26일에 진행된 최종 공개 심사에는 ‘건강한 건축을 고민한’ 11팀의 참신한 작품들이 올랐다. 심사위원은 참가자들의 다양한 제안에 흡족함을 드러내면서도 “전반적으로 주제의 집중도에 비해 공간적인 밀도의 구축과 완성도가 떨어졌다”며 아쉬움을 표했고, 이와 같은 이유로 대상과 최우수상을 가리지 못하고 우수상과 특선만을 선정했다. 이어 수상자 모두에게 공모전 이후로도 안을 계속 발전시켜 실제 우리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작업으로 이어가길 당부했다.

시상식 및 수상작 개막식은 지난 11월 9일 공간사옥 소극장 공간사랑에서 열렸으며, 수상작 전시는 11월 15일까지 계속됐다. 이후 공간대상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전시가 계속될 예정이다.


<제29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수상자 명단>

올해에는 대상, 최우수상, 입선작이 없습니다.

우수상
Crane, Almighty _ 오재훈(고려대학교 건축학과)
Weave the Fabric _ 한유진(서울대학교 건축학과)
TRAP for Imagination _ 정승돈+최정택(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특선
Urban Moving Void _ 김동현+서정목+박소민(대전대학교 건축학과)
Shall We Wash? _ 김한별+윤유라+이정이(충남대학교 건축학과)
자기증식의 도시 _ 서인지+박일진+김연우(충남대학교 건축학과)
골목길공원 _ 정도이(건국대학교 디자인학부)
Utopian Freedom _ 강승현+안성진(한밭대학교 건축학과)
팜_팜_복 _ 손중택+강석규+유호진(한밭대학교 건축학과)
Urban Farm _ 심기수+김민수+박수빈(국민대학교 건축학부)
Non-daily Life in Daily Life _김초록+최기석(인하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제29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심사평>

심사위원 장윤규

2011 공간국제학생건축상의 주제인 ‘사회적 상상체’는 개인적 상상력을 사회라는 대상에 어떻게 유용하게 연결할 것인가의 물음으로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실험적이고 개념적인 건축의 역할을 사회적인 이슈로 끌어와서 현재의 도시와 사회를 변화시키는 가능성을 탐구하려고 한 것이다.
사회적 상상력의 시작은 기존의 공간적 구조를 새롭게 발견해내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의 조합을 실현해내는 도시 리서치를 근간으로 할 것이다. 전통적인 도시 공간의 개념, 공간을 규정하는 개념적인 부분에서 물리적 요소까지 전반적인 부분에서 의문을 던지고 새롭게 재정의해내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흥미로운 건축적 제안으로 변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이번 과제에서 성취해야 할 도시 리서치의 기준점으로 작용했다. 이는 건축적 개념을 프로세스화해 발전시키는 과정을 발현되기를 원하는 부분이며, 결과물에 치중된 형태적 리서치를 배제하는 데 있다.
입상 작품들은 도시 리서치를 통한 상상력 개념을 도출하고 상상력의 공간이 실재 공간으로 변화되는 건축적 변위를 어떻게 구축해내는가의 많은 이야기를 담아내야 한다. 단순히 아름다운 형태를 구성하거나 공간적 비례 구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변화시키는 시스템이나 장치로 변화되거나 새로운 도시적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흥미로움을 가지기를 원했다. 흥미로운 프로그램과 시스템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건축적 장치로서 발전할 수 있는가에 주제의 개념성에 의해서 다분히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 상상력의 도시 건축적 제안은 다만 개념적 설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치유하고 재생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적인 면밀성과 새로운 공간적 탐험 구조를 모두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했는가 또한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되었다. 작지만 흥미로운 건축적 아이디어가 사회적 상상력으로의 변신을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의 여부도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그러나 이번 공모전은 입상작을 포함해 전반적으로 주제의 집중도에 비해서 공간적인 밀도 구축과 완성도가 떨어져 아쉬움으로 남았다. 대상과 최우수상을 선정하지 못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상상력과 사회에 적용되는 실재의 깊이를 모두 수용하는 완성도를 획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더욱 사회적 장치를 거대한 프로젝트로 접근하거나 도시적 추상으로 접근한 시도들은 입상작에서는 대부분 배제했음을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서 명시한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건축의 사회적 부분을 고민하는 건강한 건축의 다양한 시도를 아끼지 않은 제출자 모두에게 감사드린다.


<제29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공모내용>

► 주제 사회적 상상체
► 심사위원 장윤규(국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운생동건축 대표, 갤러리 정미소 대표)
► 주최 공간그룹


주제해설

우리는 상상력의 건축을 찬양하는 시대가 되었다. 보다 더 새롭고 경이로운 형태와 공간 만들기를 탐익한다. 그러나 그 상상력이 가속될수록 개인화된 한계를 드러낸다. 이제 우리는 상상력이라는 가능성을 도시와 사회를 바꾸는 도구로 치환하려고 한다…. 사회적 상상력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도시와 건축을 기대한다.

현대 도시는 단순한 물리적 팩터만으로는 읽어낼 수가 없다. 거대한 시스템의 덩어리이며, 하나를 바꾸면 다른 모든 것이 서로 작용하는, 네트워크적인 산물인 복합체적 도시가 되었다. 건축도 공간과 형태를 만드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시 또는 사회적 맥락 혹은 사람들의 사고의 변화와 반응하는 방식을 재정의해주기를 강력하게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사회와 도시, 인간의 가치를 복합화하면서 이것들을 담는 문화적 그릇을 형성하기를 원한다. 그렇지만 동전의 뒷면과 같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숨겨진 거대한 구조는 더욱더 개인화되고 격리된 각자의 영역을 구성한다. 소비 구조의 사회는 문화적인 삶이라는 모토를 빌미로 사회와 연관된 근본적인 문제와 멀어지며, 소위 이야기하는 형태, 디자인, 이미지, 분위기 등과 같은 특정한 이익을 창출해내는 현상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사회성의 결여는 우리가 최상의 가치를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요소, "상상"에서조차 많은 오류를 만들어냈다.
"상상"이란 개인적인 의식의 투사작용이며, 혼자만의 독특한 세계를 구성하고 성취하는 것이다. 블레이크가 단언하듯이, 상상력은 어떤 하나의 특이한 상태가 아니라 인간 실존 그 자체이며, 자기 존재를 투사해 새로움을 형성하기를 요구한다. 상상의 개인적 실존은 서로의 소통과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창조적인 틀로 변환될 수 있다. 개인화된 상상력이 사회를 바꾸고 개혁하는 새로운 시스템 요소로 작용하는 단계로 발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적 상상체를 통해 건축적 상상의 공간을 사회와 의미 있게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상상체를 통해 사회에 대응하는 방식의 무한함을 선택하며 다양체적인 반응을 찾아내기를 원한다. 다양체적인 반응의 한 예로, 쇠퇴하는 기존 도시에 새로운 프로그램과 물리적인 건축 환경을 제공해 도시 환경, 산업, 경제, 문화 등의 재활성과 부흥을 만들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도시 재구성으로 도달되는 미적인 조작보다는 새로운 환경의 변환을 유도하는 새로운 순환체계를 구성함을 요구한다. "사회적 상상체"는 동양의 침술처럼 중요한 급소적 반응을 이끌어내 도시 전체를 새롭게 재편할 수 있는 흥미로운 과정을 지닌다. 바늘과 같은 건축을 통한 일정한 자극으로 도시의 기혈을 소생시키고 도시를 재생하는 흥미로운 현상을 유도한다. 도시적 질서를 그대로 내버려둔 채 새롭게 삽입되는 시스템을 통해 변화된 도시적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도 있다. 도시와 환경 사이의 반응을 이끄는 장치로 작용해 새로운 의미의 가능성을 도시에 전달한다. 건축 자체의 구조를 만드는 의미가 아니라 도시의 인프라를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회적 상상체"는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방식을 통해 생성된 결과물에 대한 물음으로도 연결된다. 도시적인 여러 가지 요소의 결합이 만들어내는 건축적 공간의 역할과 영향을 적절이 이끌어내는 기본 틀을 설정하는 것과 같다. "사회적 상상체"는 완전히 그 경계를 넘어서서 통합된 도시와 건축 영역을 달성하는 강력함을 성취한다. 현대 도시적 삶에 작용하는, 없어서는 안 될 새로운 도시 구조와 공간의 새로운 상상을 기대해본다.

공모요강

► 참가자격
국내외 대학/대학원(석사) 재학생(휴학생 포함, 전공불문)
시상식 당일 학생 신분이어야 함
1팀 3인 이내

► 시상
대상(1팀): 상금 500만 원, 상장, 상패
최우수상(1팀): 상금 200만 원, 상장
우수상(3팀): 각 상금 100만 원, 상장
특선(5팀): 각 상장, 월간 「공간」2년 정기구독권
입선작(다수): 각 상장, 월간 「공간」1년 정기구독권

► 일정
주제설명회: 2011년 5월 27일 오후 2시, 공간사옥(소극장 공간사랑)
참가신청: 2011년 6월 15일~9월 15일(온라인 등록)
작품접수: 2011년 10월 10일 오후 5시까지
1차 심사결과 발표: 2011년 10월 17일
2차 공개심사: 2011년 10월 26일
최종 심사결과 발표: 2011년 10월 27일
시상식: 2011년 11월 9일
수상작 전시: 2011년 11월 9일~15일

이전글 [국가건축정책위원회]제6차 전국순회 건축도시정책포럼(제주,강원권)
다음글 2011공간대상(SPACE Prize 2011)제11회 공간국제학생실내건축상 수상자발표
close